이전 졸업작품을 할 때 백엔드 친구가 작업하는 화면을 본 적이 있다. 그때 프론트에 비해 엄청 복잡한 폴더를 보고 놀랐던 경험이 있다. 그 폴더들이 각각 무엇을 하는지 궁금했던 나는 친구에게 물어봤지만 그 당시에는 이해하지 못했다. 🥲 (view는 너네가 만든 html이 있는 폴더고.. JS는 여기에 있고... 주소이동은 여기서하고...) 아주 간단한 실습을 한 폴더다. 아주 간단한 실습인데도 구조가 생각보다 어지럽게 되어 있다. 그때 당시 이해 못한건 당연 할지도 모른다. 그래서 나는 실습을 통해 완전 초보자의 관점에서 설명을 할 것이다. 🤔 MVC란?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이다. 하나의 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그 구성요소를 세가지의 역할로 구분한 패턴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...
⚒️ 오늘 할 실습 로그인을 한 후 자신의 프로필을 바꿀 수 있는 설정이 있다. 오늘은 이 프로필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배울 것이다. 사실 현재는 백엔드와의 통신을 하는 것으로 끝이나 이후에 db와도 연동해서 할 계획이다. 이미지 파일을 올리기 위해서는 multer라는 미들웨어가 필요하다. (대중적으로 가장 많이 쓰인다고 하셨다.) 😮 그전에! 기본에는 데이터만 보냈기 때문에 body-parser만 썼다. //body-parser app.use(express.urlencoded({ extended: true })); app.use(express.json()); 하지만 body-parser는 이미지, 동영상, 파일 등을 보낼 수 없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번 시간에 보낼 이미지를 보내기 위해서는 또 다..
❗미리보시오❗ 여기서는 동기 방식으로 웹 페이지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다룰 것이다 ✅ [포스코x코딩온] 웹개발자 풀스택 과정 4주차 회고록 - Express, EJS 이번 블로그는 내가 지금까지 배운 백엔드 과정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질 것이다. 1️⃣ npm 사용하기 nodej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npm을 사용해야한다. 백엔드를 할 때 여러 패키지가 필 jin99.tistory.com 이전 블로그에서는 데이터를 주고 받는 과정이 없었다. (백엔드에서 데이터를 주면 프론트에서 보여주는 정도..?) 하지만 이번 시간은 프론트에서 보낸 데이터를 백엔드에서 확인하고 다시 프론트로 보내주는 과정을 해 볼 것이다. Get과 Post 방식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보내고 그 차이점을 알아보자! 🤔 그 전에....
이번 블로그는 내가 지금까지 배운 백엔드 과정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질 것이다. 1️⃣ npm 사용하기 nodej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npm을 사용해야한다. 백엔드를 할 때 여러 패키지가 필요한데, 이를 기록해주고 정리해주는 관리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. 이러한 정보들은 package.json에 기록된다. (주로 프로젝트에 설치된 패키지 종류를 본다.) 1. package.json에 직접 내용을 입력하고 싶을 때 npm init 2. package.json을 기본값으로 생성하고 싶을 때 npm init --yes npm init -y 3. 패키지를 설치하고 싶을 때 npm install 패키지 이름 npm i 패키지 이름 // 둘다 가능하다 설치된 패키지의 이름과 정보는 package.json의..